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2월 소비자물가 전년대비 2.8% 상승, 예상 밑돌아

지난 2월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시장 예상을 밑돌며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효과가 거의 반영되지 않은 지표로, 물가 관련 우려는 당분간 지속할 전망이다.     노동부는 2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동월대비 2.8% 상승했다고 12일 밝혔다. 전달 대비로는 0.2% 올랐다. 이는 지난 1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동월대비 3.0%, 전월대비 0.5% 오른 것과 비교해 상승폭이 둔화한 것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9월 2.4%로 낮아졌다가 지난 1월까지 상승세를 지속하며 인플레이션 반등 우려를 키운 바 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월 대비 3.1% 올라 2021년 4월 이후 3년 10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둔화했다. 전월 대비로는 0.2% 상승했다. 근원지수는 대표지수에서 단기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을 제외한 지표다.   이날 발표된 대표지수 및 근원지수 상승률은 전년 대비 및 전월 대비 모두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망치를 각각 0.1%포인트 하회했다. 주거비가 전월 대비 0.3% 상승하며 전체 월간 지수상승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했다고 노동부는 전했다. 다만, 항공요금(-4.0%)과 휘발유 가격(-1.0%)이 하락해 주거비 상승을 부분적으로 상쇄했다.   이날 물가지표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물가가 반등하고 경기침체를 촉발할 수 있다는 공포감이 커진 가운데 나왔다. 그러나 실제 물가지표는 둔화한 것으로 확인돼 일단 월가에선 한시름 놓을 전망이다. 다만, 2월 지표엔 관세 효과가 거의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향후 추이를 더 지켜봐야 한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미국 노동시장의 수요 흐름을 보여주는 구인규모도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발표된 노동부의 구인·이직보고서(JOLTS)에 따르면 지난 1월 구인 건수는 774만건으로 전월 대비 23만2000명 증가했다. 이는 전문가 전망치에 부합한 수준이다. 김은별 기자소비자물가 전년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 소비자물가 전년대비 근원지수 상승률

2025-03-12

1월 소비자물가 ‘깜짝 상승’…계란·휘발유값 상승에 3.0%↑

지난 1월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에너지 가격 강세에 ‘깜짝 상승’을 나타내며 7개월 만에 다시 3%대로 올라섰다.   미국의 경제가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예상을 크게 벗어나 상승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다시 커질 전망이다.   노동부는 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3.0% 상승했다고 12일 밝혔다. 전월과 비교해선 0.5%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로 다시 올라선 것은 지난해 6월(3.0%) 이후 7개월 만에 처음이다.   물가의 최근 동향을 반영하는 전월 대비 상승률도 2023년 8월(0.5%) 이후 1년 5개월 만에 가장 컸다.   에너지 가격이 전월 대비 1.1% 올라 1월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휘발유 가격은 전년과 비교해선 0.2% 내렸지만 전월 대비로는 1.8% 상승했다.   식품 가격도 1월 중 전월 대비 0.4% 상승해 물가 상승에 기여했다. 특히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 여파로 계란 가격이 전월 대비 15.2% 오르며 급등세를 지속했다. 이 같은 계란 가격 상승세는 2015년 6월 이후 가장 높았다고 노동부는 설명했다.   주거비는 전월 대비 0.4% 상승해 전체 월간 상승률의 약 30%에 기여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월 대비 3.3%, 전월 대비 0.4% 각각 상승했다.   근원지수 상승률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3.2∼3.3% 수준에서 정체된 모습을 지속하고 있다. 근원지수는 대표지수에서 단기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을 제외한 지표로,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상대적으로 더 잘 반영한다고 여겨진다.   인플레이션 지표가 예상 밖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들어 금리 인하를 사실상 중단하는 것 아니냐는 기대에 더욱 무게가 실릴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정책인 관세정책과 감세, 이민자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것도 이런 관측에 힘을 실고 있다.   이날 소비자물가 대표지수와 근원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및 전월 대비 상승률이 각각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를 0.1∼0.2%포인트 웃돌았다.   이날 소비자물가 지표가 깜짝 상승을 기록하면서 채권 수익률을 급등했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오전 9시 15분(동부시간) 기준 4.65%로 전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대비 11bp(1bp=0.01%포인트) 올랐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시장은 오는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도 연준이 기준금리를 현 4.25∼4.50%로 동결할 확률을 88%로 반영했다. 이는 전날보다 10%포인트 오른 수치다. 김은별 기자상승 소비자물가 소비자물가 상승률 근원지수 상승률 이날 소비자물가

2025-02-12

인플레 둔화세 정체…4월 근원 PCE 지수 2.8%↑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중시하는 인플레이션 지표가 4월 들어서도 전월 수준과 유사하게 정체된 모습을 나타냈다.   상무부는 4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했다고 31일 밝혔다. 전월과 비교해서는 0.3% 상승했다.   전년 동월 대비 및 전월 대비 상승률 모두 3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8%, 전월 대비 0.2% 각각 상승했다.     근원 PCE 가격지수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2월 이후 3개월 연속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다만, 전월 대비 상승률은 3월의 0.3%에서 다소 둔화했다.   4월 대표지수 및 근원지수 상승률은 모두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에 부합했다.   모건스탠리 E트레이드의 크리스 라킨 트레이딩 및 투자 담당 이사는 “이번 PCE 가격지수는 인플레이션의 진전을 그다지 보여주지 않았지만, 반등 역시 없었다”라고 말했다.   한편 소비지표는 전월 대비 크게 둔화했다.   4월 개인소비지출은 전월 대비 0.2% 증가해 3월(0.7%)과 비교해 증가율이 큰 폭으로 떨어진 것은 물론 전문가 전망치(0.4%)에도 못 미쳤다.   PCE 가격지수는 미국 거주자들이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할 때 지불하는 가격을 측정하는 지표다.   연준은 통화정책 목표 달성 여부를 판단할 때 소비자물가지수(CPI) 대신 PCE 가격지수를 준거로 삼는다.     김은별 기자인플레 둔화세 근원지수 상승률 인플레 둔화세 인플레이션 지표

2024-05-3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